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종부세 과세대상 총정리 (2025년 기준)

by Nananineo쇼 2025. 4. 2.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종부세 과세대상이 되는 조건, 주택 수 계산법, 공시가격 확인법, 실제 세금 계산 예시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다면 매년 6월 전 꼭 확인해야 하는 세금, 바로 종합부동산세(종부세)입니다.
2025년 현재, 과세 기준이 완화되었지만 고가 주택을 가진 1주택자다주택자, 법인은 여전히 종부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종부세 과세대상 총정리 (2025년 기준)

1. 종부세란?

종합부동산세는 일정 기준 이상의 고가 부동산 보유자에게 부과되는 국세입니다.
과세 대상 여부는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소유하고 있는 주택의 공시가격 합계로 결정됩니다.

종부세 과세대상 총정리 (2025년 기준)종부세 과세대상 총정리 (2025년 기준)

2. 종부세 과세대상 기준표

반응형
구분 과세 기준 공시가격 비고
1세대 1주택자 공시가격 11억 초과 실거주 요건 충족 시 혜택 적용
일반 다주택자 공시가격 합산 6억 초과 2주택 이상 보유자
법인 보유 기준금액 없음 (전액 과세) 주택 수 무관하게 과세

📌 공시가격은 실거래가(시세)와 다르며 매년 국토교통부에서 고시됩니다.

 

국토부 공시가격 확인 바로가기

종부세 과세대상 총정리 (2025년 기준)

3. 서울 주요 아파트 공시가격 예시

아파트 전용면적 2025년 공시가격(예상) 종부세 여부
잠실 리센츠 84㎡ 약 14억 원 과세 대상
마포래미안푸르지오 59㎡ 약 10.5억 원 과세 유예 가능성 있음
목동 5단지 105㎡ 약 11.2억 원 과세 대상

💡 최근 공시가 현실화율은 약 70% 수준. 즉, 시세 16억 원 아파트 → 공시가 11억 원 전후입니다.

종부세 과세대상 총정리 (2025년 기준)종부세 과세대상 총정리 (2025년 기준)

4. 공시가격 vs 실거래가 차이, 꼭 알아두세요

 

많은 분들이 “우리 집은 시세가 13억인데 종부세 대상인가요?”라고 묻습니다.
하지만 종부세는 공시가격 기준입니다.

  • 실거래가(시세): 실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금액
  • 공시가격: 정부가 매년 고시하는 ‘세금 기준가’
  • 현실화율(2025년): 약 65~70% 수준 (지역·면적별 차이 있음)

👉 따라서 시세 15억이라도 공시가가 10.8억이면 종부세 과세대상이 아닐 수 있습니다.

종부세 과세대상 총정리 (2025년 기준)종부세 과세대상 총정리 (2025년 기준)

5. 주택 수 계산 시 포함되는 자산

  • 포함됨: 아파트,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주거용 오피스텔
  • 제외됨: 분양권, 입주권, 업무용 오피스텔
  • 예외 조건:
    • 일시적 2주택 → 3년 이내 기존 주택 양도 시 비과세
    • 상속주택 → 지분율 낮거나 일정 요건 충족 시 주택 수에서 제외 가능

6. 실제 종부세 계산 예시

 

  • 사례 ①: 1세대 1주택자, 공시가격 13억 원
    → 공제금액 11억 원 → 과세표준 2억 원
    → 세율 0.6% → 종부세 약 120만 원 전후 발생
  • 사례 ②: 2주택자, 공시가격 합산 10억 원
    → 공제금액 6억 원 → 과세표준 4억 원
    → 누진세율 적용 시 200~300만 원대 종부세 부담 가능

📌 홈택스의 ‘종부세 미리 계산 서비스’ 이용 시 예상 세금 확인 가능

종부세 미리 계산 바로가기

종부세 과세대상 총정리 (2025년 기준)

7. 종부세 납부 일정 및 방법

항목 내용
과세 기준일 매년 6월 1일
고지서 발송 매년 11월 중순경
납부 기간 12월 1일 ~ 12월 15일
납부 방법 국세청 홈택스, 은행, ARS 납부 가능

👉 6월 1일 이전 양도 시 종부세 면제 → 거래 일정 조정에 활용 가능

종부세 과세대상 총정리 (2025년 기준)종부세 과세대상 총정리 (2025년 기준)

8. 요약: 2025년 종부세 과세대상 체크리스트

 

  • ✅ 1주택자: 공시가격 11억 초과 여부 확인
  • ✅ 다주택자: 공시가격 합계 6억 초과 여부 확인
  • ✅ 법인: 주택 수 무관, 전면 과세
  • ✅ 기준일: 6월 1일 현재 소유자
  • ✅ 공시가격 확인: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

국토부 공시가격 확인 바로가기

종부세 과세대상 총정리 (2025년 기준)

9. 종부세 절세 전략

  • 부부 공동명의 활용: 공제금액 분할로 세금 낮출 수 있음
  • 일시적 2주택 요건 충족: 세제 혜택 유지
  • 상속주택 유예제도 활용: 주택 수 제외 가능
  • 1주택자 장기보유·실거주 유지: 기본 세율 및 공제 적용
  • 6월 이전 양도 전략: 과세 대상 제외 가능

종부세 과세대상 총정리 (2025년 기준)

10. 💬 자주 묻는 질문 (FAQ)

Q. 공시가격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 접속 후 주소 검색

 

Q. 1주택자도 종부세 대상이 될 수 있나요?
→ 네, 공시가격 11억 원 초과 시 과세 대상입니다.

 

Q. 다주택자는 언제까지 집을 팔아야 종부세를 피하나요?
6월 1일 이전 양도/소유권 이전이 되어야 해당 주택은 종부세에서 제외됩니다.

종부세 과세대상 총정리 (2025년 기준)

11. 마무리: 지금 내 집이 과세 대상인지 확인해보세요

종부세는 단순히 집을 많이 가진 사람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서울·수도권 주요 지역의 1주택자도 충분히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지금 확인해야 할 3단계

  1. 공시가격 확인
  2. 보유 주택 수 합산
  3. 6월 이전 매도나 명의 조정 여부 검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