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부터 헬스장·수영장도 문화비 소득공제 대상에 포함됩니다.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 직장인이라면 연말정산 시 최대 300만 원 추가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선 신청 조건부터 소비자가 알아야 할 실전 팁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
1. 문화비 소득공제란?
문화비 소득공제는 근로소득자가 도서·공연·영화·박물관·신문 등의 문화 소비에 지출한 금액을
연말정산 시 추가로 공제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 2025년 7월 1일부터는 헬스장, 수영장도 공제 대상에 포함되며,
✔️ 일반 신용카드 소득공제 외에 별도 공제가 적용됩니다.
구분 | 공제율 | 공제한도 |
일반 신용카드 | 15% | 300만 원 |
문화비 소득공제 | 30% | 300만 원(추가) |
👉 총 급여 7,000만 원 이하 근로자가 대상이며, 연간 사용액이 총급여의 25%를 초과해야 합니다.
2. 공제 대상에 포함되는 항목
2025년 7월부터 적용되는 공제 가능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도서 구입비
- 공연 티켓
- 박물관/미술관 입장료
- 신문 구독료(종이신문)
- 영화 관람료
- 수영장·체력단련장(헬스장 포함) 시설 이용료 ← 신규 추가
❗ 단, PT, 필라테스, 식음료 등은 제외되며, 사업자가 등록되어 있더라도 공제 항목 외 지출은 적용 안 됩니다.
✅ 문화비 소득공제 핵심 요약
- 공제대상: 도서, 공연, 영화, 헬스장, 수영장 등
- 공제율: 30%
- 공제한도: 최대 300만 원 추가
- 결제처: 등록된 사업자 + 전용 단말기 필요
3. 문화비 소득공제 신청 자격
📌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 근로소득자이며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
-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이 총급여의 25% 초과
- 등록된 문화비 소득공제 가맹점에서 결제해야 인정
-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증(C코드) 등으로 결제해야 함
💡 예시
: 연봉 6,000만 원 직장인이 연간 신용카드로 1,800만 원 사용(총급여의 30%)하고,
그중 문화비(헬스장, 공연 등)로 200만 원을 사용했다면
→ 200만 원 × 30% = 60만 원 추가공제 가능!
자세한 내용을 더 알고 싶으시면 아래 질의응답서를 참고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4. 아무 헬스장이나 안 된다? 등록 사업장 확인법
문화비 공제를 받기 위해선 단순히 헬스장·수영장에서 결제했다고 해서 되는 게 아닙니다.
해당 사업장이 반드시 ‘문화비 소득공제 등록 사업자’여야 하며,
전용 단말기(카드 or 현금영수증 C코드)로 결제되어야 합니다.
👉 확인 방법
- 문화비 소득공제 공식 누리집
→ ‘지도 검색’ 기능에서 가맹 헬스장/수영장 확인 가능
👉 주의 사항
- 등록되지 않은 사업장에서 결제 시 공제 불가
- PT·강습비·상품구매는 제외 대상이므로 분리 결제 권장
5. 소비자가 알아야 할 꿀팁 3가지
🧾 1. 결제 전 반드시 한 마디!
“여기 문화비 소득공제 되나요?” → 단말기 등록 여부 확인 필수
🧾 2. PT, 필라테스 등은 분리 결제
같은 헬스장 내에서도 ‘헬스 이용권’은 공제 가능, ‘PT’는 불가
→ 헷갈리지 않도록 결제 내역 분리 필수
🧾 3. 현금영수증은 C코드로 발급 요청
일반 현금영수증은 적용 안 될 수 있음
→ “문화비 공제용(C코드)으로 주세요”라고 꼭 요청
6. 지금 바로 확인하고 챙기세요!
지금 다니는 헬스장이 문화비 등록 사업장인지 확인해 보셨나요?
놓치면 연말정산에서 몇십만 원이 날아갈 수도 있습니다.
👉 ‘지도검색’에서 내가 다니는 헬스장·수영장을 입력해 보세요.
👉 등록된 사업장이면 안심하고 공제받을 수 있어요.
문화비소득공제 > 소득공제 사업자 > 접수/등록안내
대한민국 근로소득자라면, 누구나 누리고, 연말정산 돌려받자! 문화비 소득공제
www.culture.go.kr